엑셀 CSV 활용하는 5가지 필수 방법

서론

엑셀(Excel)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며, CSV 파일은 데이터를 간편하게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형식입니다. 하지만 CSV 파일을 엑셀에서 열거나 편집할 때 데이터를 올바르게 불러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글이 깨지거나 숫자가 이상하게 표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엑셀에서 CSV 파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CSV 파일을 올바르게 불러오는 방법부터 변환, 데이터 정리, 자동화까지 실용적인 팁을 제공합니다. 이 글을 따라 하면 데이터 처리 능력이 향상되고 업무 효율이 크게 높아질 것입니다.

1. CSV 파일을 엑셀에서 올바르게 여는 방법

CSV 파일을 엑셀에서 열 때 데이터가 깨지거나, 숫자가 이상하게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한글이 포함된 CSV 파일은 인코딩 문제로 인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 문제를 방지하고 CSV 파일을 올바르게 여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엑셀에서 CSV 파일을 직접 열지 말 것

많은 사용자가 CSV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엑셀에서 자동으로 열지만, 이렇게 하면 인코딩 오류로 인해 한글이 깨지거나 숫자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으로 CSV 파일을 불러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를 이용하여 CSV 파일 열기

CSV 파일을 엑셀에서 올바르게 열려면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하세요.

  1. 엑셀을 실행하고 빈 시트를 엽니다.
  2. 상단 메뉴에서 ‘데이터’ → ‘텍스트/CSV에서’를 선택합니다.
  3. 열고자 하는 CSV 파일을 선택한 후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파일 인코딩 옵션에서 ‘65001: 유니코드 (UTF-8)’을 선택합니다.
  5. 구분 기호(쉼표, 탭 등)를 설정하고 ‘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를 올바르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CSV 파일을 메모장으로 확인 후 엑셀에서 불러오기

만약 CSV 파일을 열었을 때 데이터가 이상하게 보이면, 메모장을 이용하여 원본 데이터를 확인한 후 엑셀에서 불러오는 것이 좋습니다.

  1. CSV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연결 프로그램’ → ‘메모장’을 선택합니다.
  2. 파일을 연 후, 내용이 깨지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3. 엑셀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사용하여 파일을 불러옵니다.

엑셀에서 CSV 파일 인코딩 변경하여 저장

CSV 파일이 한글이 깨지는 경우, 엑셀에서 직접 UTF-8 인코딩으로 저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1. 엑셀에서 CSV 파일을 연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합니다.
  2. 파일 형식을 ‘CSV UTF-8(쉼표로 구분) (*.csv)’로 선택하고 저장합니다.
  3. 이제 다시 엑셀에서 파일을 열면 한글이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CSV 파일 열기 시 자동 변환 문제 해결

엑셀에서 CSV 파일을 열 때 자동 변환 문제로 인해 숫자가 날짜 형식으로 바뀌거나, 0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1. CSV 파일을 엑셀에서 직접 열지 말고,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사용합니다.
  2. 데이터를 불러올 때 열 데이터 형식을 ‘텍스트’로 지정합니다.
  3. 불러온 후에도 ‘셀 서식’을 확인하여 숫자가 변경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이 방법을 따르면 CSV 파일을 엑셀에서 열 때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데이터를 정확하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2. CSV 데이터를 엑셀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CSV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데 편리하지만, 엑셀에서 편집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엑셀 파일(.xlsx)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CSV 파일을 엑셀 형식으로 변환하면 데이터 정렬, 서식 지정, 수식 적용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CSV 데이터를 엑셀 형식으로 변환하는 3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엑셀에서 CSV 파일을 불러와 엑셀 형식으로 저장

가장 간단한 방법은 CSV 파일을 엑셀에서 불러와 ‘다른 이름으로 저장’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1. 엑셀을 실행하고 CSV 파일을 엽니다.
  2. 엑셀에서 파일이 자동으로 열리면 데이터가 제대로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3. 상단 메뉴에서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합니다.
  4. 파일 형식에서 ‘Excel 통합 문서 (*.xlsx)’를 선택한 후 저장합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지만, CSV 파일을 직접 더블 클릭하여 열 경우 인코딩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사용하여 변환

CSV 데이터를 올바르게 불러와 엑셀 형식으로 저장하려면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엑셀에서 빈 시트를 연 후 ‘데이터’ → ‘텍스트/CSV에서’를 클릭합니다.
  2. CSV 파일을 선택한 후 ‘가져오기’ 버튼을 누릅니다.
  3. 파일 인코딩을 ‘65001: 유니코드 (UTF-8)’로 설정하여 한글 깨짐을 방지합니다.
  4. 쉼표(,) 또는 탭 등의 구분 기호를 확인한 후 ‘로드’를 클릭하여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5. 불러온 데이터를 확인한 후,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하고 엑셀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데이터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문제(예: 숫자가 날짜로 변환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VBA(매크로)를 활용하여 CSV 데이터를 자동 변환

여러 개의 CSV 파일을 한 번에 엑셀 파일로 변환하려면 VBA(매크로)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지정된 폴더 내의 모든 CSV 파일을 엑셀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Sub ConvertCSVtoXLSX()
    Dim csvFile As String
    Dim wb As Workbook
    Dim filePath As String

    filePath = "C:\CSV_Files\" ' CSV 파일이 있는 폴더 경로 설정
    csvFile = Dir(filePath & "*.csv")

    Do While csvFile <> ""
        Set wb = Workbooks.Open(filePath & csvFile)
        wb.SaveAs filePath & Replace(csvFile, ".csv", ".xlsx"), FileFormat:=xlOpenXMLWorkbook
        wb.Close False
        csvFile = Dir
    Loop

    MsgBox "CSV 파일이 엑셀 형식으로 변환되었습니다!", vbInformation
End Sub
VB

위 코드를 실행하면 지정한 폴더 내의 모든 CSV 파일이 자동으로 엑셀 형식(.xlsx)으로 변환됩니다.

변환 후 주의할 점

  • CSV 파일을 엑셀로 변환할 때 인코딩을 UTF-8로 설정해야 한글이 깨지지 않습니다.
  • 숫자 데이터가 자동으로 날짜 형식으로 바뀌는 문제를 방지하려면 열 데이터 형식을 ‘텍스트’로 지정해야 합니다.
  • VBA를 사용할 경우, 매크로 사용 가능 통합 문서(.xlsm)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CSV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엑셀에서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CSV 파일을 활용한 데이터 정리 및 필터링

CSV 파일은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하지만, 불필요한 데이터를 정리하고 원하는 정보만 필터링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엑셀을 활용하면 CSV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SV 데이터를 정리하고 필터링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중복 데이터 제거하기

CSV 데이터를 엑셀에서 정리할 때,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복 데이터를 정리하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1. CSV 파일을 엑셀에서 연 후, 중복을 제거할 열을 선택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데이터’ 탭을 클릭한 후, ‘중복된 항목 제거’를 선택합니다.
  3. 중복을 제거할 열을 확인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중복 데이터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동일한 값이 여러 번 입력된 데이터를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빈 행 및 공백 제거하기

CSV 데이터를 다룰 때, 빈 행이나 불필요한 공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면 데이터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빈 행 제거 방법

  1. 전체 데이터를 선택한 후 ‘Ctrl + G’를 눌러 ‘이동 옵션’을 엽니다.
  2. ‘옵션’에서 ‘빈 셀’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3. ‘삭제’를 눌러 빈 행을 제거합니다.

공백 문자 제거 방법

  1. 정리할 열을 선택한 후 ‘Ctrl + H’를 눌러 ‘찾기 및 바꾸기’ 창을 엽니다.
  2. ‘찾을 내용’에 공백( )을 입력한 후 ‘바꿀 내용’은 비워둡니다.
  3. ‘모두 바꾸기’를 클릭하면 불필요한 공백이 제거됩니다.

필터 기능을 활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

필터 기능을 사용하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남길 수 있습니다.

  1. CSV 데이터를 엑셀에서 연 후, 첫 번째 행(헤더)을 선택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데이터’ 탭을 클릭하고 ‘필터’ 버튼을 선택합니다.
  3. 각 열 제목 오른쪽에 나타나는 드롭다운 버튼을 클릭하면 필터링 옵션이 표시됩니다.
  4. 원하는 값만 선택하거나 특정 조건을 입력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특정 날짜, 특정 범위 내의 숫자, 특정 단어가 포함된 데이터만 추출할 수 있습니다.

조건부 서식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조건부 서식을 활용하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강조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정리할 데이터를 선택한 후, ‘홈’ 탭에서 ‘조건부 서식’을 클릭합니다.
  2. ‘새 규칙’을 선택한 후, 특정 조건(예: 100 이상인 값 강조)을 입력합니다.
  3. 서식을 지정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가 강조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특정 값 이상 또는 이하의 데이터, 특정 텍스트를 포함한 데이터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나누기 기능을 활용한 데이터 정리

CSV 파일에 포함된 데이터가 하나의 셀에 여러 개의 정보로 입력되어 있는 경우, ‘텍스트 나누기’ 기능을 활용하면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1. 분리할 데이터가 포함된 열을 선택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데이터’ 탭을 클릭한 후, ‘텍스트 나누기’를 선택합니다.
  3. ‘구분 기호 선택’에서 쉼표(,) 또는 을 선택합니다.
  4. ‘완료’를 누르면 한 셀에 포함된 데이터가 여러 열로 나누어집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이 한 셀에 합쳐진 데이터를 손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엑셀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면 CSV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필요한 정보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중복 데이터 제거, 공백 정리, 필터링, 조건부 서식 및 텍스트 나누기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면 데이터를 정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고, 보다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4. CSV 파일을 활용한 엑셀 자동화 작업

CSV 파일을 반복적으로 다루다 보면 매번 데이터를 불러오고 정리하는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엑셀의 자동화 기능을 활용하면 CSV 파일을 불러오고 가공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워쿼리, 매크로(VBA), 엑셀 함수를 활용하여 CSV 파일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파워쿼리를 이용한 CSV 데이터 자동 업데이트

엑셀의 파워쿼리(Power Query) 기능을 활용하면 CSV 파일을 자동으로 불러오고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파일이 변경될 때마다 수동으로 데이터를 정리할 필요 없이, 클릭 한 번으로 데이터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파워쿼리를 이용한 CSV 데이터 가져오기

  1. 엑셀을 열고 ‘데이터’ 탭에서 ‘데이터 가져오기’‘텍스트/CSV에서’를 클릭합니다.
  2. CSV 파일을 선택한 후, 데이터 미리보기를 확인합니다.
  3. ‘데이터 변환’을 클릭하여 불필요한 열을 제거하고, 형식을 조정합니다.
  4. ‘닫기 및 로드’를 선택하면 CSV 데이터가 엑셀 시트에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CSV 파일이 변경될 때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기

CSV 파일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엑셀에서 자동으로 새 데이터를 반영하려면:

  • ‘데이터’ → ‘쿼리 및 연결’에서 기존 파워쿼리를 선택합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새로 고침’을 선택하면 변경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VBA(매크로)를 활용한 CSV 파일 자동 변환

엑셀에서 VBA(매크로)를 활용하면 여러 개의 CSV 파일을 한꺼번에 엑셀 파일로 변환하거나 특정 형식으로 데이터를 자동 정리할 수 있습니다.

VBA 코드로 CSV 파일 자동 불러오기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특정 폴더 내의 모든 CSV 파일을 엑셀 파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Sub ImportCSVFiles()
    Dim csvFile As String
    Dim wb As Workbook
    Dim filePath As String

    filePath = "C:\CSV_Files\" ' CSV 파일이 있는 폴더 경로 설정
    csvFile = Dir(filePath & "*.csv")

    Do While csvFile <> ""
        Set wb = Workbooks.Open(filePath & csvFile)
        wb.SaveAs filePath & Replace(csvFile, ".csv", ".xlsx"), FileFormat:=xlOpenXMLWorkbook
        wb.Close False
        csvFile = Dir
    Loop

    MsgBox "모든 CSV 파일이 자동으로 변환되었습니다!", vbInformation
End Sub
VB

이 코드를 실행하면 해당 폴더에 있는 모든 CSV 파일이 자동으로 엑셀 파일로 변환됩니다.

엑셀 함수로 CSV 데이터 자동 정리

엑셀의 함수를 활용하면 CSV 데이터를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나누기 함수(TEXTSPLIT)

쉼표로 구분된 데이터를 여러 개의 셀로 나누려면 TEXTSPLI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TEXTSPLIT(A2, ",")
XML

이 함수를 적용하면 A2 셀의 데이터를 쉼표(,) 기준으로 여러 개의 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중복 제거 함수(UNIQUE)

CSV 파일에서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유니크한 값만 가져오려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UNIQUE(A2:A100)
XML

이 함수를 적용하면 A2:A100 범위에서 중복을 제거한 데이터만 표시됩니다.

자동 필터링 함수(FILTER)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필터링하려면 FILTER 함수를 사용합니다.

=FILTER(A2:C100, B2:B100="서울")
XML

위 코드를 사용하면 B열의 값이 “서울”인 데이터만 필터링됩니다.

CSV 파일을 자동으로 특정 폴더에서 불러오기

CSV 파일을 특정 폴더에서 자동으로 불러와 엑셀에서 바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파워쿼리를 이용한 폴더 내 CSV 파일 자동 통합

  1. 엑셀에서 ‘데이터’‘데이터 가져오기’‘폴더에서’를 선택합니다.
  2. CSV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3. 파워쿼리 창에서 모든 CSV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병합합니다.
  4. ‘닫기 및 로드’를 클릭하면 폴더 내 모든 CSV 데이터가 자동으로 불러와집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특정 폴더에 CSV 파일을 추가할 때마다 엑셀에서 자동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엑셀의 파워쿼리, VBA(매크로), 함수를 활용하면 CSV 파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파워쿼리를 사용하면 CSV 데이터를 자동 업데이트할 수 있고, VBA를 활용하면 여러 개의 CSV 파일을 한꺼번에 변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엑셀 함수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쉽게 정리하고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동화 방법을 활용하면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5. CSV 파일 저장 시 발생하는 문제 해결 방법

CSV 파일을 저장할 때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코딩 오류, 숫자 자동 변환, 특수 문자 손실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CSV 파일을 올바르게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SV 저장 시 한글 깨짐(인코딩 문제) 해결

엑셀에서 CSV 파일을 저장할 때 한글이 깨지는 원인은 인코딩 방식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엑셀은 ANSI(Windows-1252) 형식으로 CSV를 저장하지만, 한글을 포함한 데이터는 UTF-8로 저장해야 합니다.

해결 방법: UTF-8 인코딩으로 CSV 저장

  1. 엑셀에서 데이터를 정리한 후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합니다.
  2. 파일 형식을 ‘CSV UTF-8 (쉼표로 구분) (*.csv)’로 선택합니다.
  3. 파일 이름을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하면 한글 깨짐 없이 CSV 파일이 저장됩니다.

만약 위 방법으로도 한글이 깨진다면, 메모장을 이용하여 인코딩을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모장을 활용한 인코딩 변경

  1. CSV 파일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2.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합니다.
  3.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변경하고, 인코딩을 ‘UTF-8’로 선택한 후 저장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엑셀에서 저장한 CSV 파일을 다른 프로그램에서 열 때 한글이 깨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CSV 파일 저장 시 숫자가 자동 변환되는 문제 해결

CSV 파일을 엑셀에서 저장하면 전화번호, 우편번호 등의 숫자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00123’ 같은 값이 ‘123’으로 저장되거나, 긴 숫자가 자동으로 지수 표기법(1.23E+10)으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숫자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

  1. 숫자가 포함된 열을 선택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셀 서식’을 클릭한 후, ‘텍스트’ 형식으로 변경합니다.
  3. CSV 파일을 저장하면 숫자가 자동 변환되지 않습니다.

VBA를 활용한 자동 변환 방지

만약 반복적으로 CSV 파일을 저장해야 한다면, 아래 VBA 코드를 사용하면 자동 변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Sub SaveAsCSV()
    Dim ws As Worksheet
    Set ws = ActiveSheet
    ws.SaveAs "C:\Users\YourUsername\Desktop\data.csv", FileFormat:=xlCSVUTF8
    MsgBox "CSV 파일이 UTF-8 형식으로 저장되었습니다!", vbInformation
End Sub
VB

이 코드를 실행하면 현재 엑셀 시트를 UTF-8 인코딩으로 CSV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CSV 파일 저장 시 특수 문자(@, &, # 등)가 손실되는 문제 해결

특수 문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CSV 파일로 저장하면, 일부 문자가 손실되거나 이상한 형식으로 변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엑셀이 자동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해결 방법: 특수 문자 앞에 따옴표 추가

CSV 저장 시 특수 문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변경되지 않도록 유지하려면, 데이터 앞에 따옴표(‘)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 & A2
XML

이 공식을 사용하면 A2 셀의 데이터가 따옴표와 함께 저장되어, CSV 파일에서도 원래 형식 그대로 유지됩니다.

CSV 저장 후 데이터가 한 줄로 표시되는 문제 해결

CSV 파일을 저장한 후 다시 열었을 때, 모든 데이터가 한 줄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구분 기호(쉼표, 탭 등)가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해결 방법: CSV 구분 기호 확인 및 변경

  1. CSV 파일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2. 데이터가 쉼표(,)가 아닌 다른 기호(예: 세미콜론 ;)로 구분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3. 엑셀에서 ‘데이터’‘텍스트/CSV에서’를 선택한 후, 구분 기호를 올바르게 설정합니다.

윈도우 설정에서 기본 CSV 구분 기호 변경

  1.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옵션’을 엽니다.
  2. ‘형식’ 탭에서 ‘추가 설정’을 클릭합니다.
  3. ‘목록 구분 기호’를 쉼표(,)로 설정한 후 저장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CSV 파일을 엑셀에서 열 때 데이터가 한 줄로 표시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구분되어 나타납니다.

CSV 파일을 저장할 때 발생하는 문제는 대부분 인코딩 설정, 숫자 변환, 특수 문자 처리, 구분 기호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엑셀의 다양한 기능과 설정을 활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UTF-8 인코딩으로 저장하고, 숫자 및 특수 문자 처리 방법을 적용하면 CSV 파일을 보다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결론

CSV 파일은 데이터 공유 및 저장에 매우 유용하지만, 엑셀에서 제대로 활용하지 않으면 데이터 손실이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방법을 익히면 CSV 파일을 엑셀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제 실무에서 CSV 파일을 효과적으로 다루고, 업무 효율을 극대화해 보세요!

Leave a Comment